2016년, 작가 한강에게 맨부커상 수상이라는 영예를 안겨다 준 소설.
한강은, "깊이 잠든 한국에 감사드린다"는 수상 소감을 남겼다.
깊이 잠든... 아직은 깊이 잠든... 곧 깨어날... 한국에 감사한다고.
이 책은 3부로 이루어진 연작소설이다. 1부는 영혜의 남편이, 2부는 영혜의 형부가, 3부는 영혜의 언니가 화자로 등장해 영혜의 행동을 서술할 뿐 이 소설에서 영혜는 주인공이면서도 철저히 이방인이라는 독특한 위치에 있다.
<1부 채식주의자> 화자는 영혜의 남편
수수하고 특별할 것 없는 조용조용한 성격의 영혜. 이처럼 특징없는 성격과 외모때문에 영혜의 남편은 영혜와 결혼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런 튀거나 특별한 모습이라곤 없는 그녀가 어느날 꿈을 꿨다고 하면서 고기 먹기를 거부한다.
단지 꿈때문에... 가족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고기를 먹지않고, 서서히 다른 음식도 먹지 않고, 꿈때문에 잠도 제대로 자지 않는다. 어느 날, 친정 식구들이 함께 모인 식사 자리에서 고기를 거부하는 영혜에게 영혜의 친정 아버지는 억지로 고기를 먹이려 한다. 그러자 영예는 칼을 들어 손목을 긋는다. 다행히 응급조치로 몸은 회복하지만 가슴을 풀어헤치고 일광욕을 하는 등 정신이상 증세를 보인다.
<2부 몽고반점> 화자는 영혜의 형부
영혜의 형부는 어느날 몽고반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영혜 엉덩이에 아직 몽고반점 있잖아"하는 영혜 언니의 한마디에 묘한 흥분을 느낀다. 그는 영상예술가로 언젠가 바디페인팅으로 표현한 예술작품을 만들고 싶어했다. 그러다 영혜에게 자신의 작품의 모델이 되어달라고 한다. 영혜는 수락한다. 영혜의 몽고반점을 클로즈업하면서, 몽고반점을 중심으로 온몸에 물감으로 꽃을 피우고 예술작품을 연출한다. 작품을 감상하다가 남자 모델이 있었으면 하고 직접 관계를 맺는다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후배에게 부탁을 했지만 영상을 촬영하다가 더이상은 못찍겠다며 가버린다. 그는 자신의 몸에 꽃을 그려 영혜의 자취방을 찾아간다(영혜는 이혼한 상태). 영혜의 몸에 있는 꽃과 자신의 몸에 있는 꽃이 한데 모여 어우러지면서 둘은 정사를 나누고 캠코더에 영상이 그대로 담긴다. 자취방을 찾은 영혜의 언니가 캠코더에 있는 영상을 발견하고는 두 사람을 응급대에 신고해 정신병원에 보내버린다.
<3부 나무 불꽃> 화자는 영혜 언니
영혜 언니 인혜는 예술가 남편을 뒷바라지 하면서 생활을 책임져온, 자기 삶을 산다기 보다는 고스란히 세월을 견뎌온 여성이다. 남편은 정신감정과 동료들의 구명운동을 통해 정신병원에서 풀려났고 이후 자취를 감춰버린다. 영혜는 아직도 정신병원에 있다. 그러나 아무 것도 먹지 않는다. 고기 뿐만 아니라 다른 음식도 먹지 않고 약은 물론 주사도 온몸으로 거부한다. 영혜의 언니가 채소와 과일로 도시락을 싸가며 곁에서 보살피지만 먹기를 거부하고 나무가 되고 싶어한다. 결국 정신병원을 나오며 이야기는 끝난다.
꿈 때문에 육식을 거부하게 된 영혜.
다른 생명체의 살을 먹는 것을 혐오하는 비폭력주의, 평화의 상징인 채식주의를 고집하게 된 것은.
꿈 때문에 꿈 때문에, 단지 꿈 때문이다!
그 꿈이 얼마나 강렬하기에 현실을 뛰어넘고 다 놓아버릴 수 있기까지 한 걸까.
그리고 몽고반점.
인간의 원초적 순수함 무색의 원시성, 아니 어쩌면 신과 교류하는 은밀하고 신비한 그 무엇.
영혜에게 아직 몽고반점이 남아있다는 것은 영혜가 가진 원초적 순수함과 신비감을 의미한다.
그런 그녀의 순수와 신비를 지켜주기는 커녕 예술을 빙자해 자신의 동물적 욕구를 충족하는 위선적 권력.
마지막으로 영혜의 언니 인혜. 어쩌면 한번도 자신의 삶을 살아보지 못한 여인.
딸로 언니와 누나로, 아내로 엄마로 살면서 자신을 희생해 온 여인.
세상은 어쩌면 이런 여성들에 의해 입혀지고 먹여지고 생존해왔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녀의 헌신과 강인한 생활력이 주변 사람들을 지탱하게 하고 생존하게 하는 것.
그녀에게 있어 영혜는 끝까지 보살피고 돌보아야 할 가엾은 동생이며 책임감의 대상이다.
남편과 불미스런 일로 자신의 삶을 망가뜨렸고 곁에 두기엔 너무 버거운 동생이지만 끝까지 곁을 지킨다.
영혜는 기어이 나무가 될 것이다!
세상은 그녀에게 고기를 권하고 음식을 먹으라고 부추키지만 기어이 그녀는 먹기를 거부하고 나무가 될 것이다.
꿈 때문에 남편은 떠나갔지만(아니 그녀가 보낸 것이리라), 그녀는 여전히 꿈을 꾸었고, 그 꿈때문에 잠 못 이루고 그녀의 삶은 망가졌을지라도... 그것이 어쩌면 그녀에게 은총으로 주어진 완성된 삶의 모습인지도.
꽃과 나무가 되고 싶어하는 그녀를 형부는 오히려 육체적 탐닉의 대상으로 삼았을지라도 그녀는 잠시나마 꿈이 주는 무게를 잊을 수 있었다.
결국은 그토록 간절히 바라던 대로 나무가 될 것이다!
그녀의 언니가 그녀 곁에서 그녀가 아름다운 나무로 완성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더이상 고통도 없고 해침도 없는 나무가 되도록.
그 누구도 그녀의 꿈을 이해하지 못했고, 그녀의 원초적 순수함의 상징 신비의 몽고반점조차도 세상은 호기심어린 탐닉의 매개로밖에 바라보지 못했으나.
치열하게 삶을 견뎌온, 강인한 생활인, 올곧게 땅을 딛고 걸어온 그녀의 언니류의 이 땅의 수많은 인혜들이 기어이 그녀를 구원에 이르게 할 것이다.
'앎. 삶. 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리뷰- 관계의 품격 (0) | 2019.03.24 |
---|---|
촛불 그 너머 (0) | 2016.11.26 |
농단에 올랐던 순실씨 (0) | 2016.11.04 |
사드와 한반도 (0) | 2016.10.01 |
백남기 농민의 죽음 (0) | 2016.09.25 |